아동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린이가 성인과 다른 점은 정체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루하루 성장 발달한다는 것이다. 어린이는 자신의 삶의 영역이 단순하기 때문에 아동문학이 어린이의 생활 영역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며 어린이가 성장 발달하는 특성에 따라 아동문학의 교육적 가치는 매우 중요하다.
1) 즐거움과 호기심 충족
아동문학은 어린이들에게 즐거움과 호기심을 충족시켜준다. 왜냐하면 문학 속에는 어린이들의 흥취를 돋구는 시적 운율을 맛볼 수 있고, 어린이들이 쉽게 공감하고 자기 동일시하여 상상의 세계에 투영할 수 있는 또 다른 세계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동문학은 아름다운 색채와 형상으로 흥미진진한 세상 일을 담아내고 있어 어린이 자신의 경험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아름다운 상상 속으로 몰고 갈 수도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성인은 때로 필요에 의해 책을 읽기 때문에 즐거움과 재미가 없어도 끝까지 읽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어린이들은 책 속에서 즐거움과 재미를 찾을 수 없으면 더 이상 책을 보려고 하지 않는다. 이런 즐거움과 재미는 평생 그 어린이의 독서에 대한 취향과 태도를 결정짓는다.
2) 상상력 자극과 사고 발달
아동문학은 어린이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그 결과 사고의 발달을 가져온다. 상상력은 현실적 지각에 기초하지 않은 사물이나 사건의 심상을 마음속에 그려보는 힘이다. 어린이들은 아동문학을 통해 막연하게 상상했던 심상을 그릴 수 있고, 보이지 않는 것을 구체화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 아동문학은 과학적 설명과 자연의 법칙이 문제 되지 않는다. 시간과 공간과 크기와 모양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배경, 인물, 시대의 요소들을 잘 활용하여 환상적 세계를 만들어 어린이들은 그것을 믿고 따르며 현실 세계와 상상의 세계를 넘나들며 즐길 수 있다.
3) 바른 인성과 정서 함양
아동문학은 어린이의 바른 인성과 정서를 풍요롭게 한다. 아동문학은 어린이의 세계를 잘 알고 어린이의 발상이나 기분으로 이야기를 그려낸 책이다. 이야기의 전개 과정에서 어린이들은 주인공과 함께 슬퍼하고, 기뻐하고, 놀라고, 걱정하고, 분노하고, 안도하는 등 동일시를 통해 정서적 경험을 같이한다. 이런 대리 경험은 마치 어린이들로 하여금 나의 신발을 신고 걸어보게 하는 것으로 남의 입장이 되어 보고 감정이입하는 능력을 길러준다. 이로써 어린이들은 역사적 인물과 사건을 좀 더 개인적 수준에서 친근하게 관련 맺게 되고 특정 시대의 상황이나 여건에 의해 제한된 사람들을 이해힐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아동문학은 어린이를 도와 역사를 초월하여 보편적인 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지니게 되고 다문화적이고 국제적인 이해를 위한 정서를 함양하도록 해준다.
4) 자기와 주변 세계에 대한 이해
아동문학은 어린이가 자신의 주변 세계와 이웃들에 대해 이해하도록 돕는다. 그림책은 어린이가 편견 없는 눈으로 자연을 볼 수 있게 해 주고, 자연 안에 있는 그대로를 존중하고 인정하게 해 준다. 그리고 그 자연 속에 있는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며, 자연의 일부인 인간은 다른 인간과 더불어 자연을 지키고 보존해야 할 충분한 가치가 있음도 발견하게 해 준다. 그 자연 안에 있는 인간들은 누구나 다 똑같은 존재들이며, 더불어 살아야 하는 존재들이란 사실도 인식하게 해 준다. 어린이들은 자연스럽게 그림책 속에 사는 나와 비슷한 또 다른 인간이 겪는 문제와 그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겪는 감정들을 살피게 되고 대리 경험하게 되면서 더불어 사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이해를 발견시키게 된다.
5) 도덕적인 이해와 도덕적 판단 능력 함양
흔히 이야기의 주인공이 도덕적 결단을 내리도록 요구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고 주인공에 감정 이입이 된 어린 독자는 주인공과 함께 그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때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를 분별하게 되고 나아가 어떻게 해야 할지 숙고하면서 자연스럽게 주인공의 선택과 결단에 동참하게 된다.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그 선택의 결말이 드러나면서 자신의 결정 여부가 어떤 궁극적인 결과를 가져오는지 간접 체험을 하게 된다. 어린이들은 독서를 통해서 이런 유형의 이야기들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서 차츰 옳고 그름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게 되고 도덕적 판단 능력과 더불어 선과 정의를 지향하는 동기 부여도 얻게 된다.
6) 자신감과 자기 통제력 (문제 해결 능력)
아동문학을 통해 어린이들은 자신감과 자기 통제력을 갖게 된다. 자신감과 자기 통제력은 지적인 능력과 정서적 안정감이 통합되어 나타난다. 인간은 어떤 사실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알면, 그 앎을 이미 가지고 있는 기존의 지식과 통합되어 새로운 앎으로 발전시킨다. 어린이들은 책을 통하여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환경을 만나고, 새로운 문제 해결의 방법을 배운다. 이러한 경험들은 어린이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술들에 합쳐지고, 길러지고, 변화되어 하나의 새로운 능력으로 통합 발전한다.
'아동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문화운동 시대(해방 전 아동 문학) (0) | 2023.06.07 |
---|---|
우리나라 아동문학의 역사 (0) | 2023.06.06 |
아동문학에서의 시점 (0) | 2023.06.05 |
아동 문학의 구성 요소2 (0) | 2023.06.04 |
아동문학의 구성 요소1 (0) | 2023.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