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 아동문학 교육 이론의 이해 문학 교육은 문학과 교육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문학 교육 이론에도 문학(텍스트) 중심에서 바라보는 문학 교육 이론과 교육(학습자) 중심에서 보는 두 가지 접근법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1. 문학 중심의 아동문학 교육 이론 문학 중심의 문학 교육은 에이브럼즈(M.H.Abrams)의 비평론을 근거로 하고 있다. 이브럼즈는 예술 작품이 지닌 작가, 작품, 세계, 독자의 네 요소가 예술 비평의 뼈대를 이루어 표현론, 반영론, 존재론, 효용론을 발전시킨다고 보았다. 1) 표현론적 관점의 문학 교육 이론 작품을 작가와 관련지어서 설명하는 방법으로 작품이 작가의 체험이나 사상, 감정 등 전지적 사실과 관련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문학은 작가의 자기 표현이라고 보는 관점이다. 따라서 작품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 2023. 6. 19. 역사 동화 1) 역사 동화의 개념 역사 동화의 개념은 역사 소설의 개념에서 유추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다. 역사 소설은 문학계에서 소설의 한 형태로 인정되고 있다. 역사 소설은 "과거와 역사를 소재로 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의 의미와 관련하여 통용되는 견해는 역사 소설과 현대 소설을 연대상의 기준에 따라 구분하는 것으로서 현재로부터 두 세대 즉, 40년에서 60년 이상의 과거사를 소재로 한 소설을 역사 소설이라고 규정한다. 일반적으로 역사 소설이란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을 소재로 하여 쓰인 소설이라는 통념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 같은 통념은 역사와 소설, 즉 사실과 허구의 복합에서 유추된 것으로 역사적 사실의 바탕 위에서 소설이란 양면성을 포용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그 양면성은 결국 역사라는.. 2023. 6. 18. 장르별 그림책의 특징 (1) 운문 그림책의 특징 운문 그림책이란 '전래 동요나 창작 동요, 동시와 같은 운문을 글감으로 하여 그림을 담아 만든 그림책'을 말한다. 운문 그림책은 전래 동요 그림책, 동요 그림책, 시 그림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운문 그림책은 외관상 독특한 형태, 함축적인 언어, 운율로 이미지, 의미, 강한 정서를 생성하는 운문의 특성을 글과 그림을 통해 얼마나 잘 전달하였는지가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운문 그림책의 수는 산문 그림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지만 1990년대부터 운문 그림책에 대한 기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2) 사실주의 그림책의 특징 사실주의 그림책은 현 세계에 사는 사람들에게 일어났거나 일어날 수 있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그림책을 말한다. 즉, 아동문학에서의 사실 동화를 의미한다. 사실주의 .. 2023. 6. 16. 그림책 1) 그림책의 개념 그림책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글과 그림이 함께 제시되는 책을 의미하며 그림이 적어도 펼친 면에한 개씩 실려 있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도서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림 이야기 책, 이야기 그림책, 이야기책, 그림 동화책 등 다양한 용어로 글과 그림이 함께 실린 어린이용 도서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림책 작가인 유리 슐레비츠(Uri Shulevitz)는 그림책이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 이야기책(Story book)과 그림책(Picture book)을 비교하고 있다. 그는 이야기 책은 단어로 이야기를 말하는 책이라고 했다. 비록 그림이 그림을 부연하고는 있지만 글 없이는 이야기를 이해하지 못한다. 이야기 책에서 단어 자체가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림은 보조역할만을 하기 때문이다. .. 2023. 6. 15.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