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문학

아동문학 교육 이론의 이해

by 천상여주 홍사마 2023. 6. 19.

문학 교육은 문학과 교육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문학 교육 이론에도 문학(텍스트) 중심에서 바라보는 문학 교육 이론과 교육(학습자) 중심에서 보는 두 가지 접근법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마동문학 교육 이론

1. 문학 중심의 아동문학 교육 이론

문학 중심의 문학 교육은 에이브럼즈(M.H.Abrams)의 비평론을 근거로 하고 있다. 이브럼즈는 예술 작품이 지닌 작가, 작품, 세계, 독자의 네 요소가 예술 비평의 뼈대를 이루어 표현론, 반영론, 존재론, 효용론을 발전시킨다고 보았다.

 

1) 표현론적 관점의 문학 교육 이론

작품을 작가와 관련지어서 설명하는 방법으로 작품이 작가의 체험이나 사상, 감정 등 전지적 사실과 관련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문학은 작가의 자기 표현이라고 보는 관점이다. 따라서 작품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을 지은 작가의 의도를 아는 일이 필요하다고 보아 작가가 의식적으로 전달하고자 한 내용 외에도 작가의 무의식이 작용했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가의 창작 의도와 작가의 가족 관계, 성장, 배경, 학력, 직업, 교우 관계, 취미, 사상, 종교 등에 대해서 알아보아야 한다. 작품을 작품 외적인 요인과 연결한다는 점에서 외재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역사주의 비평이나 심리학적 비평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만일 '피터팬'을 읽는다면 이 작품을 쓴 작가 J.M.배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배리가 어린시절에 어떤 책을 읽었는지, 어떤 놀이를 했는지, 가족관계가 어땠는지를 알면 그가 쓴 '피터팬'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배리는 어릴 때 '산호섬'이라는 이야기를 즐겨 읽고는 그 섬을 피터팬의 네버랜드로 잡았다는 것, 형이 있었는데 어릴때 사고로 죽는 바람에 그의 형이 그때 모습 그대로 영원히 머릿속에 남아 피터팬의 모델이 되었다는 것, 친구들과 즉석 연극을 하면서 놀던 세탁소 건물은 웬디를 위해 아이들이 지어 준 오두막의 모델이 되었다는 점 등 많은 부분이 있다. 국내  작가 중에서도 '아주 특별한 우리 형'을 쓴 작가 고정욱은 장애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가 쓴 장애 작품을 작가의 삶과 연관지어 이해하는 것, 마해송의 '바위나라와 아기별'을 작가의 전기적 사실이 투영된 작품으로 이해하는 것 모두 이 관점과 연관된다.

 

2) 반영론적 관점의 문학 교육 이론

작품을 현실과 관련지어 파악하는 방법을 말한다. 작품은 현실 세계의 반영이라고 보고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재현의 대상이 된 현실과 작중 현실을 비교해서 검토해야하면, 사회적 요인이 작품의 형성에 관여한 내용을 파악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작품이 재현 대상이 된 현실을 얼마나 진실하게 반영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가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척도가 되며, 작중 사건의 개연성과 필연성의 문제, 사회 발전의 합법칙성 구현 여부의 문제가 중요한 논의 내용이 된다.

문학이 단순한 상상력의 소산이라고 보는 관점을 거부하고 작가의 세계관과 현실 인식의 타당성이 작품의 높은 성휘에 관건이 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작품을 외적 요인과 관련시키는 외재적 비평 방법으로 문학이 자연의 모방이라거 본 아리스코텔레스의 관점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현대의 리얼리즘 이론도 이 관점과 매우 긴밀한 관계가 있다. 권정생의 '몽실 언니'나 이원수의 '골목대장'은 한국전쟁 전후의 어두운 현실을 재현하고 있다는 분석등은 이 관점과 연관된다.

 

3) 존재론적 관점의 문학 교육 이론

문학 작품을 독립된 하나의 실체로 보아 작품의 외부 요소와 결부시키지 않고 그 자체의 구조를 탐구하려는 방법이다. 작품의 구조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구조론적 방법이라고 하며 다른 관점들이 외재적 요인을 중시하는 데 비해 내부 요인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내재적 비평이라고 한다. 작품을 이해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것은 작품밖에 없으며, 작품 안에 작품을 해명할 수 있는 요소는 모두 갖추어져 있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작품 형성에 관여된 작가나 현실 시대 환경 등은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작품이 독자에게 끼친 효과도 작품에 대한 평가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작품의 언어, 구조, 부분과 전체의 유기적 관계 등이 중심적인 탐구 대상이다. 주로 형식의 탐구에 치중하기 때문에 형식주의로 불리기도 한다. 시의 운율이라든다 비유, 상징, 구조에 대한 정교하고 치밀한 분석에 많이 쓰인다.

 

4) 효용론적 관점의 문학 이론

작품이 독자에게 주는 감동의 내용을 작품 평가의 척도로 삼으려는 관점이다. 작가가 작품을 쓰는 것은 일차적으로 독자에게 미적 쾌감을 불러일으키고, 궁극적으로는 인생에 대한 교훈을 주려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보는 입장에서, 작품이 독자에게 일으킨 감동의 효과를 통해 문학의 성질을 컴토한다. 즉, 독자의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의 성질은 무엇이며 그것은 작품의 어떤 요인에서 유발되었는가를 설명하려는 방법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비극은 연민과 공포를 통해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행한다."라고 한 것은 대표적인 효용론의 관점이다. 작품을 독자라는 외적 요인과 결부시켜 설명한다는 점에서 외재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종종 반영론적 관점과 결합하기도 한다. 독자의 감동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자칫 인상 비평에 빠질 수도 있으나,문학의 사회적 기능이라는 측면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문학에 대한 논의에서 빠뜨릴 수 없는 관점이다. 문학의 이데올로기성이나 외설성에 대한 논의들도 이 관점과 연관된다.

 

'아동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 동화  (0) 2023.06.18
장르별 그림책의 특징  (0) 2023.06.16
그림책  (0) 2023.06.15
옛 이야기  (0) 2023.06.14
판타지 동화  (0) 202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