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 옛 이야기 1) 옛 이야기의 특징 옛이야기는 전승 문학의 한 유형으로 모든 전승 문학과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문장으로 기록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다 근대에 와서 수집되고 문헌으로 기록된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옛이야기는 전승 이야기라고도 불린다. 전승 이야기는 어떤 특정한 세대만의 소유물이 아니라 남녀노소를 불문한 모든 사람의 소유물이었다.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이야기되기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서민들에 의하여 소유되고 소중히 여겨져 왔다. 전승 이야기들은 본래 대부분이 성인들을 위한 것이었으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읽힐 수 있는 것들을 분류하여 동화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러므로 전래 동화는 전승되어 오던 이야기들을 어린이의 발달적 수준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하게 고쳐 쓴 개작(각색.. 2023. 6. 14. 판타지 동화 1) 판타지 동화의 특징 판타지(fantasy)란 그리스어로 '눈에 보이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 비현실적인 사건이나 현실 밖의 일을 '눈에 보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옥스포드 사전에서는 판타지를 '지각의 대상을 심적으로 이해하는 일' 또는 '상상력으로서 현실로 나타나지 않는 것의 모양을 바꿔 놓은 활동이나 힘, 또는 그 결과'라고 정의한다. 현대에 들어와 판타지 혹은 판타지 문학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연구한 토도로프는 '환상성은 두 개의 질서 곧 자연적 세계와 초자연적 세계로 시간을 이분하면서 두 개의 질서가 교차하는 과정'이라고 보았다. 환상성이란 문제를 경이로움과 기괴함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독자적인 영역으로 파악하고 이때 '주저함(망설임)'이라는 동사.. 2023. 6. 14. 사실 동화 1) 사실동화의 개념 사실동화는 창작동화의 하위 갈래를 구분할 때 가장 많이 적용 되는 기준으로 판타지인가 사실적인 이야기인가 하는 것이기준이다. 사실적인 이야기는 주로 어린이들의 생활 이야기를 다룬 것으로 그 명칭에 있어서 사실 동화, 생활 동화가 혼용되어 사용되다가 최근에는 생활 동화라는 명칭보다 사실 동화라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생활 동화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1939년대 계급주의 아동문학이 본격화 되던 때에 쓰이던 명칭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30년대 전 후로 계급주의 아동문학의 고양기에 이르러 어린이의 실생활을 사실적으로 그린 동화를 생활 동화라고 불러 왔다. 이처럼 생활 동화는 어두운 일본 강점기의 한 흐름을 반영하는 말이다. 그리고 처음 출발은 아이들의 진실한 실생활을 담아내고자.. 2023. 6. 13. 동시 1) 동시의 특징 동시는 어린이를 위해 쓴 시이다. 어른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한 것이기보다 어린이에게 즐거움을 주고 감동을 주기 위한 시이다. 따라서 동시 속에는 어린이들의 생활이 있고, 그들의 감정이 담겨 있어야 하다. 또한 어린이의 수준에 맞는 어휘와 표현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만일 어른의 생활과 감정을 읊고 어른의 눈으로 본 객체를 그린 작품이라면 어린이에게 공감을 주기 힘들다. 동시는 동심의 시이다. 동심이 없는 동시는 동시라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동시는 동심을 바탕으로 쓰인 동심의 시라고 할 수 있다. 어린이들은 동시를 읽으면서 동심을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으며, 잃었던 동심을 회복하게 되기도 한다. 동시는 소리 또는 운율에 따른 음악성이 있다. 그래서 동시를 읽을 때 특별히 '낭송'이라.. 2023. 6. 13.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