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문학

사실 동화

by 천상여주 홍사마 2023. 6. 13.

1) 사실동화의 개념

사실동화는 창작동화의 하위 갈래를 구분할 때 가장 많이 적용 되는 기준으로 판타지인가 사실적인 이야기인가 하는 것이기준이다.

사실동화

사실적인 이야기는 주로 어린이들의 생활 이야기를 다룬 것으로 그 명칭에 있어서 사실 동화, 생활 동화가 혼용되어 사용되다가 최근에는 생활 동화라는 명칭보다 사실 동화라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생활 동화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1939년대 계급주의 아동문학이 본격화 되던 때에 쓰이던 명칭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30년대 전 후로 계급주의 아동문학의 고양기에 이르러 어린이의 실생활을 사실적으로 그린 동화를 생활 동화라고 불러 왔다. 이처럼 생활 동화는 어두운 일본 강점기의 한 흐름을 반영하는 말이다. 그리고 처음 출발은 아이들의 진실한 실생활을 담아내고자 하였지만 결국 현실에 갇혀 살아가는 아이들의 겉모습만을 그려내는 계몽적 교훈주의 문학으로 치우쳐 동화의 본질에서 멀여졌기 때문에 적합한 명칭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협소한 관점에서 벗어나야 하고 현실 세계의 문제를 있는 그대로 직시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통해 세상과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게 해 주는 '사실 동화'라는 용어가 판타지 동화와 대비되는 동화의 하위 갈래 개념으로 적합하다.

사실동화(realistil fiction)는 그저 현실 세계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이야기를 다룬 동화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과거나 현재 생활을 주체로 반영하는 허구적인 작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제로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일어날 수 있는 사실적 이야기를 의미한다. 작품의 소재를 현실에서 찾고, 현실의 논리에 맞게 이야기가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사실동화는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어린이가 어떤 존재인가, 어떤 삶의 문제를 갖는가 등,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어린이와 그들의 삶을 다룬다. 어린이들의 일상적 문제, 즐거움, 개인적 인간관계를 다루고 인물과 배경도 우리가 사는 현대사회의 사실적인 것들이다. 사실동화는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역사 동화와 사실적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지만 그 배경이 현대의 것이냐 역사 속의 것이냐에 따라 사실 동화와 역사 동화는 구별된다.

 

2) 사실동화의 특성

사실동화 작품은 현실에서 작품의 소재를 찾아 현실을 탐구한다. 어린이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적인 사건들이 이야기의 소재가 된다.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사실 동화는 어린이의 구체적인 삶을 소재로 다룬다. 성장기 아동발달이나 자아 개념, 정체성 문제, 부모 형제 등을 둘러싼 가족이야기, 친구 관계나 학교생활, 사회, 문화, 환경 등 어린이를 둘러싼 다양한 현실적 문제들이 작품의 소재로 다루어 진다. 

사실동화 작품은 현실의 논리에 맞게 이야기가 전개된다. 현실세계와 비현실적인 세계를 구분하여 어떤 이야기가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구분하게 된다. 동물이나 사물이 사람처럼 말을 하고 학교에 다닌다거나, 사람이 마술이나 마법을 사용하거나, 무엇이 갑자기 나타났다가 사라지거나 하는 등의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라는 것, 현실의 법칙이 아니라는 점도 인식하게 된다. 사실 동화에서 탐구하는 현실은 어린이의 눈에 비친 현실이어야 한다. 어린이가 보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어린이의 현실 문제를 다운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어린이의 삶은 성인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민족 문제나  통일 문제처럼 어린이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제한적인 경우가 있으면 어린이가 생각하고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서 기술해야 한다.

 

3) 사실동화의 교육적 효과

사실동화가 주로 다루는 주제는 현재의 삶의 문제에 초점을 둔다. 일본 강점기에는 주로 계급 문제나 어려움을 극복하는 내용을 주제로 한 동화가 많았다. 근래에 가장 두드러지게 언급되는 주제는 가족관계, 친구 관계, 선생님과의 관계, 가난, 장애, 죽음, 성(性), 사회문제, 민족, 통일, 환경, 인권문제, 신체적 성숙, 정서적 병화, 자아 성찰 등이다. 사실 동화의 다양한 주제들은 어린이가 자신의 삶에서 직면한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두려움과 편견을 극복하여 용기 있게 자신과 타인을 수용하도록 도와 줄 것이다. 또한, 세상과 인간에 대한 이해의 틀을 넓게 해주고 긍정적인 성장과 변화를 이끌어 줄 것이다. 

사실동화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이어서 동일시가 쉽고, 따라서 소재가 다양하다. 이야기 속에 유머가 있어서 사실 동화를 읽을 때 즐거움을 얻으며 삶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게 한다. 이야기 속의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간접 경험함으로써 건전한 자아 개념과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시켜 준다.

'아동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 이야기  (0) 2023.06.14
판타지 동화  (0) 2023.06.14
동시  (0) 2023.06.13
아동문학 상  (0) 2023.06.12
20세기 아동문학  (0) 2023.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