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문학이 아동에게 관계있는 소재와 아동에게 이해되는 표현으로 성립된다고 말한 이원수(2001)는 아동문학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아동은 어른과 비교하면 문해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아동문학은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식과 내용을 지닌다.

아동문학의 형식
아동문학이 아동에게 관계있는 소재와 아동에게 이해되는 표현으로 성립된다고 말한 이원수(2001)는 아동문학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아동은 어른과 비교하면 문해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아동문학은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식과 내용을 지닌다.
첫째, 아동이 이해하기 쉬운 형식과 내용을 가진다. 즉, 아동이 잘 알 수 있는 어휘, 아동의 생활과 관련되며, 아동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내용을 가진다.
둘째, 소박하고 단순한 것이 많다. 소박하다는 것은 인간의 자연성과 결부되며 성인 사회의 부정적인 것을 거부하고 자연스러운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기초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아동문학이 단순한 것은 아동들의 생활이 어른들의 생활에 비해 단순하기 때문에 작품의 길이가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대상 독자의 계층이 많고, 따라서 작품 내용의 난이도 차가 심하다. 아동문학의 내용은 유년 문학, 저학년 문학, 고학년 문학, 청소년 문학 등의 계층을 이룬다. 따라서 아동문학은 문학적인 그릇으로서 작은 것, 그리고 고도한 문학정신과 평이한 서술이 잘 조화되어야만 이룩할 수 있는 문학이다.
어린이의 문제
아동문학의 독자인 어린이도 어른과 마찬가지로 그들 나름의 문제를 지닌다. 어린이는 친구, 부모, 형제 등의 관계에서 고민하고 갈등하는 존재다. 스미드(Smith, 1699:7)에 따르면 어린이의 문제는 어른의 문제보다는 단순하지만, 동시에 어른의 문제보다 더욱 사물의 핵심을 찌르는 특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일반적으로 어른은 선악이나 진위 등의 문제를 빗대어 어린이들은 그와 같은 추상적 구벽없이 직접 느끼고 표현한다. 이와 같은 어린이들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아동문학의 특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스미드(Smith)는 아동문학에 나타나는 가치 판단은 건전하고 직설적이며, 이는 어린이 문학에 '동심'이 반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아동문학의 표현 양식
페리 노들먼(Perry Nodelman)은 아동문학의 표현 양식은 단순하되 반드시 가장 단순하지는 않고, 인물 지향적이라기보다 행위 지향적이며, 순수한 관점으로 제시되고, 낙관적이고 행복한 결말이며, 교훈적이고, 서술과 구조에서 반복적이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우에노 료는 어린이 속에 잠재해 있는 인간의 가능성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을 아동문학의 특징으로 보았다. 인간의 가능성은 다양한 인물과 사건을 통해 표현된다. 이 관점에 따라 어린이 문학을 '일상 세계', '신비한 세계', '이상한 세계 관점에서 탐구하는데, '일상 세계'는 현실 세계에서 인간의 모습을 탐구한다. '신비한 세계'는 일상 세계 너머에 있는 또 하나의 세계로서 그 별세계를 그려냄으로써 인간 본연의 모습을 추구한다. 그리고 '이상한 세계'는 '난센스'로서 일상적 세계를 뒤집어 만들어진 세계로서 인간이나 세계가 이상해질 수 있다는 형태로 인간 속에 있는 가능성을 찾는다. 즉, 아동문학은 아동의 일상 세계와 판타지 세계, 그리고 일반적인 상식을 뛰어넘는 세계를 다룬다. 김상욱(2001)은 '계몽성, 낭만성, 현실성'을 어린이 문학의 본질이자 특징으로 제시한다. 그는 이들 범주는 어린이 문학의 특징을 고려해 제한되고 변동된 채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계몽성'은 기존의 교육적 의미라는 협소한 틀을 벗어나 다소 폭넓고 융통성 있는 범주로 확장되어야 하며, 낭만성의 오히려 기존의 광범위한 범주의 틀을 극복하고 다소 정교하게 제한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 계몽성과 낭만성의 적절성 여부를 평가하게 만드는 동력이 무엇보다 현실성에 놓여있다. 현실성은 과도한 계몽성을 제어하는 장치이기도 하며, 나아가 초월적인 낭만성을 걸러내는 장치이기도 하다. 계몽성, 낭만성, 현실성 세 가지 범주가 어린이 문학의 본질적인 계기들이며, 형식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자질이라고 설명한다.
아동문학의 내용적인 측면의 특징
1) 교육성
아동문학의 궁극적 목적은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미성숙한 아동을 건전한 사회적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데 있다. (이재철, 1971) 아동문학이 목표로 하는 교육은 교육이 목표로 하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아동문학의 '교육적 기능 말할 수 있다. 훌륭한 문학은 모두 교육성과 도덕성의 갖추고 있다. (석용원,1980) 그렇더라도 문학성을 교육성과 대등한 개념으로 볼 수는 없다. 그것은 문학성이 교육성을 포함 할 수는 있지만 교육성은 문학성을 보완할 따름이기 때문이다. (유경황, 1980) 따라서 문학성과 예술성이 풍부하면 아동들에게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며 가장 교육적이라 할 수 있다. 교육성은 아동문학이 심신의 발달 단계에 놓인 어린이들의 정신 내용을 풍성하게 하고 확충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아동문학 작품에는 어린이의 연령적 단계에 걸맞으면서도 올바를 가치관이나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중요성, 조국의 미래를 책임질 국민으로서의 올바른 애국심, 생명과 자연의 소중함 등을 생각하는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어린이들이 문학 작품을 통해서 예술적 표현의 밑바탕에 깔린 교훈을 절실하게 공감하고 동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아동 문학의 몫이다. 이 때문에 아동문학 작품들은 교훈 자체가 그대로 노출되어 드러나 보이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들의 각 발달 과정에 요구되는 윤리성이나 교육성도 참되게 감동하게 할 수 있는 예술성과 미작 표현 위에서 시도되어야 하는 것이다.
'아동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문학에서의 시점 (0) | 2023.06.05 |
---|---|
아동 문학의 구성 요소2 (0) | 2023.06.04 |
아동문학의 구성 요소1 (0) | 2023.06.03 |
아동문학의 특징2 (0) | 2023.06.02 |
아동문학의 개념 (0)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