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아동문학을 이루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필요하다. 이것들이 서로 잘 어울려야 가치 있는 작품이 되기 때문이다. 아동문학 작품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동화의 경우는 등장인물, 플롯, 갈등, 배경, 주제, 문체, 시점, 결말, 그림(삽화), 화소(모티브) 등의 요소가 필요하다.
1) 등장인물
등장인물
등장인물을 캐릭터란 용어로 설명하는데 캐릭터는 인물과 성격의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개개인을 가리키며, 후자의 경우에는 개개인들을 결정하는 관심, 욕망, 정서, 도덕률 등을 혼합한 그 무엇을 가리킨다. 아동문학에 등장하는 인물은 독자에세 자신의 친구, 혹은 역할 모델, 일시적으로 자신의 부모라고 느끼기도 하고, 자신의 모습과도 동일시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아동은 인물이 어떻게 묘사되었는지 이야기의 전개 과정에서 등장인물이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한 관심을 갖는다. 아무리 어린 독자라 할지라도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인물에게 공감이 되지 않으면 사건에도 흥미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아동문학에 등장하는 인물은 성격화와 일관성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성격화
성격화는 인물의 신체적 외모와 개성을 묘사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인물의 감정적이고 도덕적인 특질을 묘사하거나 다른 인물들과의 관계를 드러내는 방식은 미묘하고 효과적인 기법이다. 이러한 성격화는 독자들이 인물을 파악하도록 도와주며 인물의 신빙성을 이루는 데 필요한 수단이다. 가장 설득력 있는 성격화는 등장인물의 행동이나 대화, 다른 인물이 나타낸 반응, 화자에 의한 설명이다. 아동문학에 등장하는 캐릭터 중 생활 동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사실적이다. 마치 옆집에 사는 이웃과 같이 친근하고 생생하고 추구하는 모습이 보여야 한다. 만약 등장인물의 성격이 극단적으로 한가지 측면만을 제시하거나, 생활 속에서의 행동과 감정의 표현이 변화무쌍하여 예측이 불가능 하거나, 동물이나 식물 혹은 판타지 동화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의 감정과 상황이 인간 생활의 보편성을 근거하여 실제와 연결되어 묘사되어 있지 않으면 아동인 독자가 쉽게 동일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환상적인 인물이든 현실적인 인물이든 간에 그 등장인물이 행동하고 생각하고 말하는 모든 것들이 자연스럽고 타당하고 일관성 있기 때문에 아동들은 각각의 인물들이 그들의 나이, 문화, 교육 배경에 합당하게 말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에 반해 옛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은 일차원적이어서 선하든지, 악하든지 분명하게 성격지어진다. 그리고 서술을 통해서 인물의 특징을 선보이는 특징이 있다.
옛이야기
옛이야기에서는 인물이 사건보다 중요시되지 않으므로 생김새, 나이, 성격 등도 필수적이지 않으면 언급하지 않고 인물의 개성도 나타나지 않는다. 선, 악, 미, 추 등의 개념이 상징적으로 함축된 분명하고 전형적인 인물이 등장한다. 등장인물의 정형성 문제는 내면의 갈등을 외면적 대립 관계로 파악하고 보여주고 있는 옛이야기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콩쥐 팥쥐에 등장하는 콩쥐는 착하고 팥쥐는 나쁘다. 더구나 콩쥐의 계모인 팥쥐 엄마는 모질고 콩쥐는 이미 착한 인물로 설정되어 있어서 구태여 착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늘 착하다. 여기에 팥쥐는 망설이거나 고뇌하는 것이 없고 주위 환경의 변화에도 전혀 영향은 받지 않는다. 옛이야기의 인물은 고뇌 할 줄도 모르고 아픔을 느낄 줄도 모른다. 예를 들어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등장하는 엄마는 호랑이에게 팔다리를 떼어 먹히고도 슬퍼하거나 우는 대신 바쁘다는 듯 다음 고개를 향해 간다. 그리고 옛이야기 속 주인공은 힘없고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거나 부자의 등쌀에 시달리는 가난한 사람이거나 나쁜 양반들의 횡포에 힘겨워하는 소작농, 호랑이에게 쫒기는 토끼, 힘없는 어린아이 등 옛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은 모두 약한 편이 힘센 편을 이기기를 바라며 주인공과 한마음이 되도록 인물의 성질을 보여준다.
2) 플롯 (사건 구성)
잘 짜인 플롯은 믿을 만해야 하며 사실과 연결되어야 한다. 플롯은 평범하고 지루하고 예측 가능하기 보다는 독창적이고 신선해야 한다. 좋은 플롯은 독자에게 흥분과 긴장감을 유지하게 시키는 '갈등'을 조성한다. 플롯은 모든 독자들에게 중요한 요소지만, 빠른 진행과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즐기는 아동들에게는 특히 중요하다.
잘 구성된 플롯은 이야기를 받아들이고 즐기도록 도와준다. 플롯은 직선적인 플롯, 단속적 플롯, 병렬적 플롯, 이중적 플롯으로 나눌 수 있다. 직선적 플롯은 가장 단순하고도 논리적인 구성 방식으로 사건 전개 과정이 아주 선명하게 표면에 드러나는 반면, 지나친 단순성에 빠질 우려가 있다. 단속적 플롯은 사건들 사이에 다른 사건이 끼어듦으로써 앞뒤 사건의 관계가 완전히 끊어지는 듯하다가 다시 이어지는 복잡한 구성 방식이다. 이 방식은 다양한 변화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작품의 사실 구조를 획득하도록 하는 데 효과적이다. 병렬적 플롯은 단순하거나 복잡하게 전개되는 인간관계에 의한 사건의 진행이라기보다는 각기 독립된 여러 사건들을 개별적으로 나열해 가는 구성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각기 독립된 사건의 긴장과 해결에서 오는 단순한 리듬의 반복이 있을 뿐이어서 일관된 성격의 변화나 주제의 발전 및 심화 같은 것은 찾기 힘들다.
이중적 플롯은 작품의 주요 뼈대를 이루는 주된 플롯과 외곽을 이루는 부차적 플롯으로 구성된, 즉 이야기 속에 이야기를 담은 플롯 형식으로 흔히 액자 이야기다. 서사 텍스트의 주요 뼈대를 이루는 플롯은 인과관계에 의한 사건의 배열이기 때문에 거기에는 논리적인 전개 양식이 필요하며 그 자체의 법칙을 지닌다. 플롯은 크게 '발단, 전개, 위기, 절정, 대단원'의 5단계(4단계)로 이루어진다.
'아동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문학에서의 시점 (0) | 2023.06.05 |
---|---|
아동 문학의 구성 요소2 (0) | 2023.06.04 |
아동문학의 특징2 (0) | 2023.06.02 |
아동문학의 특징1 (0) | 2023.06.01 |
아동문학의 개념 (0) | 2023.05.31 |